전체 글
-
칠순 나이 계산, 팔순 나이 계산
칠순이나 팔순 같은 나이는 예전에는 흔히 ‘세는 나이’ 기준으로 얘기했었는데, 지금은 만나이 기준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실제 나이로 계산해주는 게 맞아요. 그래서 ‘칠순잔치’, ‘팔순잔치’ 할 때도 요즘은 대부분 만나이로 챙기고요. 일단 칠순은 말 그대로 ‘만 70세’ 되는 해를 말해요. 생일 기준으로 정확하게 만 70세가 되는 해가 칠순이에요. 예를 들어 1955년생이면, 생일이 지났다면 2025년에 만 70세가 되는 거라서 올해 칠순 맞아요. 아직 생일 안 지났으면 2025년엔 만 69세고, 생일 지나야 만 70세 되는 거고요. 그래서 요즘은 잔치 날짜 잡을 때 생일 지나고 하는 경우가 많아요. 팔순도 마찬가지예요. 팔순은 ‘만 80세’ 되는 해를 말하는 거라서, 예를 들어 1945년생이면 2025년에..
-
진인사대천명 뜻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라는 말은 한자 그대로 풀면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을 다 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는 뜻이에요. ‘진(盡)’은 다하다, 최선을 다한다는 뜻이고, ‘인사(人事)’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일, 즉 인간의 노력이나 책임 같은 걸 말해요. 그리고 ‘대(待)’는 기다린다는 의미, ‘천명(天命)’은 하늘의 명령, 운명이나 결과라고 볼 수 있죠. 그러니까 이 말은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걸 다 하고 나서야 비로소 그 결과는 하늘에 맡기겠다는, 일종의 마음가짐이나 태도를 담은 말이에요. 살다 보면 아무리 열심히 준비하고 노력해도 결과가 내 뜻대로 안 되는 일이 진짜 많잖아요. 그럴 때 허탈감이나 원망 같은 감정이 들기도 하는데, 이 말을 마음에 두고 있으면 조금은 담담하게 받아들이..
-
지천명의 뜻
‘지천명’이라는 말은 한자로 ‘知天命’이라고 써요. ‘하늘의 명을 안다’는 뜻인데요, 흔히 사람 나이로는 쉰 살, 즉 만 50세를 뜻하는 표현으로 많이 쓰여요. 이 말은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에서 유래한 건데요,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자립했고, 마흔에 미혹하지 않았으며, 쉰에 천명을 알았고… 이렇게 이어지는 문장에서 ‘쉰에 천명을 알았다’는 구절이 바로 지천명의 근거예요. 여기서 말하는 ‘하늘의 명’이라는 건 꼭 어떤 운명이나 종교적인 의미만 있는 건 아니고요, 인생에 대한 이해나 자기 역할, 자신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깨닫는 경지라고 보면 돼요. 그러니까 단순히 나이가 쉰이라는 숫자만 의미하는 게 아니라, 어느 정도 인생을 살아보고 나서야 비로소 스스로와 세상을 ..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는 이름 그대로 기후변화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고민하는 정부 차원의 위원회 활동들을 볼 수 있는 곳이에요. 보통 ‘탄소중립’ 하면 먼 이야기처럼 느껴지는데, 홈페이지 안에서는 정부가 실제로 뭘 하고 있는지, 앞으로 뭘 하려고 하는지 꽤 구체적으로 정리돼 있어서 생각보다 볼 게 많아요. 일단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제일 눈에 띄는 게 위원회 구성하고 운영 체계 같은 기본 정보들이에요. 이 위원회가 대통령 직속으로 운영되다 보니까 전체적인 정책 방향을 조율하고 조정하는 역할이 크거든요. 그래서 그냥 의견만 내는 자문기구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정책 방향을 끌고 가는 역할도 같이 하고 있어요. 위원장은 공동위원장 체계로 운영되는데, 정부 쪽 인사와 민간 전문가가 같이 맡는 식이에요...
-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는 민원이나 고충, 부패 관련된 신고를 하거나 정보를 찾을 수 있는 공식 창구예요. 정부 기관 중에서도 국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역할을 하는 곳이라서, 억울하거나 부당하다고 느끼는 일을 겪었을 때 이 홈페이지를 찾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사이트 전체 분위기도 좀 무겁다기보다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게끔 되어 있어요.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 들어가면 제일 눈에 띄는 게 '청렴신문고'라는 메뉴예요. 여기서는 부패나 공익침해 같은 걸 신고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공공기관에서 부당한 일이 있었거나 내부 고발하고 싶은 상황이 생겼을 때 이걸 통해서 신고를 하게 되는 거죠. 특히 이름 밝히기 꺼려질 때는 익명으로도 가능한 경우가 있어서 좀 더 부담 없이..
-
정보공개포털 홈페이지 바로가기
정보공개포털 홈페이지는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가지고 있는 각종 정보를 국민들이 직접 요청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사이트예요. 저도 예전에 궁금한 통계자료가 있었는데 일반 검색으로는 안 나와서 여기 통해서 신청해본 적 있거든요. 생각보다 절차가 어렵진 않았고, 며칠 지나니까 답변도 정식으로 와서 꽤 신기했어요. 이 포털에서는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교육청, 공공기관 등 정말 다양한 기관의 정보들을 하나로 모아서 볼 수 있게 되어 있어요. 검색창에 궁금한 기관명이나 주제어만 입력해도 관련된 정보들이 리스트로 쭉 뜨는데, 공개된 자료들은 바로 내려받을 수도 있고, 아직 공개되지 않은 자료는 ‘정보공개청구’라는 절차를 통해 직접 요청도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사업에 예산이 얼마나 쓰였는지”, ..
-
인플루언서 뜻
요즘 진짜 자주 들리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인플루언서’잖아요. 저도 예전엔 그냥 유명한 사람들 이야기하는 줄 알았는데, 좀 더 알고 보니까 단순히 유명하다고 다 인플루언서는 아니더라구요. ‘인플루언서’는 영어 단어 ‘influencer’에서 온 말인데요, 말 그대로 보면 영향(influence)을 주는 사람이라는 뜻이에요. 보통은 SNS나 유튜브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활동하면서, 사람들이 뭘 사고, 뭘 좋아하고, 어떤 생각을 하게 되는 데 영향을 주는 사람들을 이렇게 불러요. 예전에는 연예인이나 전문가들이 주로 영향력이 있었는데, 요즘은 일반인도 콘텐츠를 잘 만들고 사람들과 소통을 잘하면 인플루언서로 성장할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인스타그램에서 여행 사진 올리면서 여행지 정보를 공유하는 분들도 있고,..
-
인천 공항 버스 요금
저도 공항 갈 때마다 교통편 고민하곤 하는데요, 인천공항 가는 버스 요금은 생각보다 간단하게 정리돼 있어요. 기본적으로는 고급형 리무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노선이나 경유 여부에 따라 요금이 조금씩 달라져요. 서울 시내에서 인천공항까지 직통으로 가는 고급형 리무진은 성인 기준으로 17,000원이구요, 김포공항을 경유해서 인천공항으로 가는 노선은 1,000원 저렴한 16,000원이에요. 어린이는 두 경우 모두 12,000원이고요. 그리고 서울에서 김포공항까지만 이동할 경우에는 성인 8,000원, 어린이 6,000원이에요. 김포에서 인천공항으로 이동하는 노선도 동일하게 성인 8,000원, 어린이 6,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어요. 어린이 요금은 만 6세부터 초등학생까지 적용되는데요, 만 6세 미만의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