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적정체중 계산법, 계산기
    사실

    내게 맞는 적정체중이 얼마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가장 쉬운 적정체중 계산법은 포털 사이트에서 '비만도 계산기'를 검색해 보는 거예요. 이걸로 BMI(신체질량지수)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요, 아니면 키별 표준 체중표를 참고하는 방법도 있어요. 포털 계산기마다 조금씩 특징이 다르니 한번 비교해 보세요.

     

    포털 1: 다음 비만도 계산기

     

    우선 포털 사이트 '다음(Daum)'에서 '비만도 계산기'를 검색해 보면 바로 결과가 나오더라고요. 이게 가장 빠르고 간편하게 BMI 지수를 확인하는 적정체중 계산기예요. 저도 궁금할 때마다 종종 이용하는 방법이랍니다.

     

    검색 결과 화면에서 바로 내 키와 몸무게를 입력하고 '계산' 버튼만 누르면, 신체질량지수(BMI)와 함께 저체중, 정상, 과체중 같은 현재 상태를 딱 알려줘서 정말 편해요.

    다음 비만도 계산기 검색 화면

     

    예시로 신장 160cm, 체중 50kg을 넣고 계산해 봤어요. 결과가 19.53으로 '정상' 범위에 속하는 걸 볼 수 있죠. 이런 식으로 내 키와 몸무게만 알면 신체질량지수(BMI)를 금방 알 수 있어서 좋아요.

     

    하지만 이 BMI 수치에는 맹점이 하나 있어요. 바로 근육량이나 지방량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운동선수는 근육이 많아서 체중이 많이 나가도 BMI 상으로는 '과체중'이 나올 수 있거든요. 그러니 이 수치가 절대적인 건강 상태는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하셔야 돼요.

    다음 BMI 계산 결과 정상 범위 예시

     

    다음 계산기의 또 다른 특징은 '복부비만도'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건 은근히 유용한 기능이더라고요. 성별을 선택하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입력하면 복부비만 여부를 알려줘요.

     

    재미있는 건, 같은 수치를 입력해도 성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는 거예요. 이미지 예시를 보면 남자는 '정상'인데 여자는 '위험수준높음'으로 나오죠. 남녀의 신체 기준이 다르다는 걸 반영한 거라, BMI보다 좀 더 참고할 만한 것 같아요.

     

    포털 2: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이번에는 '네이버(Naver)'에서 '비만도 계산기'를 찾아봤어요. 네이버도 마찬가지로 검색하면 바로 계산기가 나와서 사용하기 편하더라고요. 다음 계산기랑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한번 살펴볼게요.

     

    네이버 계산기의 가장 큰 특징은 '나이'를 입력하는 칸이 있다는 점이에요. 보통 나이에 따라서도 적정체중 기준이 달라진다고 하니까, 이게 좀 더 정확하지 않을까 기대하게 되더라고요.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검색 화면

     

    그래서 아까랑 똑같이 160cm, 50kg을 넣고 나이만 20세와 30세로 다르게 입력해 봤거든요. 그런데 좀 이상하더라고요. 결과가 완전히 똑같이 나왔어요. BMI 지수는 물론이고 정상, 과체중 같은 범위 기준도 전혀 변하지 않더라고요.

     

    나이를 입력하는 칸이 분명히 있는데도, 실제 계산 결과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 같았어요. 혹시나 해서 다른 나이대도 넣어봤는데 마찬가지였답니다. 이게 일시적인 오류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혹시나 해서 아예 80세로도 입력해 봤는데, 보시는 것처럼 결과는 똑같았어요. BMI 지수 자체는 변동이 없더라고요. 예전에는 나이별로 기준이 달랐던 것 같은데 지금은 아닌가 봐요.

     

    다만 유일하게 달라지는 건 '내 나이대 상위 몇 %'인지 보여주는 부분이었어요. 20대는 상위 30%, 30대는 15%, 80대는 5%로 표시되네요. 같은 몸무게라도 나이대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가 다르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아요.

    네이버 BMI 계산기 80세 입력 결과

     

    참고: 키별 정상 vs 예쁜 체중표

     

    마지막으로 인터넷에서 참고할 만한 '키별 적정체중 및 예쁜체중' 표예요. 이건 공식적인 적정체중 계산법이라기보단, 미용적인 기준이 좀 더 반영된 재미로 보는 표라고 생각하시면 좋아요.

     

    보통 '정상체중'이라고 표시된 건 BMI 기준으로 '정상' 범위에 속하는 체중이고, '예쁜체중'은 그보다 더 마른, 사실상 '저체중'에 가까운 기준이더라고요. 여성분들이 주로 참고하시는 것 같아요.

    키별 정상체중과 예쁜체중 비교표 (한글)

     

    이게 바로 위에 있던 한글 표의 원본인 것 같더라고요. 내용은 거의 비슷해요. 키별로 표준 체중과 소위 '신데렐라 체중'이라고 불리는 미용 체중을 나눠서 보여주고 있어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런 BMI 계산기나 체중표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어요. 같은 몸무게라도 근육량과 지방량에 따라 눈으로 보이는 모습은 완전히 다르거든요. 숫자에 너무 집착하기보다는 건강한 식단과 운동으로 '눈바디'를 가꾸는 게 훨씬 중요하답니다.

    키별 표준체중과 미용체중 원본 비교표 (일본어)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