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공시지가를 조회하고 열람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라는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되는데요. 여기에서 표준지공시지가 메뉴를 통해 원하는 지역의 주소를 선택하기만 하면, 단위면적당 가격을 포함한 다양한 토지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가격은 토지 관련 세금이나 보상금 산정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표준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
가장 먼저,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해서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를 찾아 들어가야 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관리하는 곳이라 믿을 수 있고, 표준공시지가뿐만 아니라 다른 부동산 관련 공시가격 정보도 얻을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곳입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여러가지 메뉴가 보이는데, 우리가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됩니다.
사이트에 보이는 여러 메뉴들 중에서 우리는 '표준지공시지가'를 찾아서 눌러주면 됩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화면 중간쯤에 위치해 있어서 찾기 어렵지 않아요. 이걸 누르면 전국의 표준지공시지가를 주소별로 찾아볼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다른 공시가격 정보도 같은 곳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필요할 때 참고하면 좋습니다.
이제 원하는 지역을 직접 선택해서 찾아볼 차례입니다. 주소를 선택하는 창이 나오면 시/도, 시/군/구, 읍/면/동 순서대로 차근차근 고르면 됩니다. 여기서는 예시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을 선택해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이렇게 주소를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누르면 해당 지역의 표준지 목록이 나타납니다.
검색 결과 목록에서 특정 번지를 선택하면, 그 토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표준지공시지가는 물론이고 토지의 면적, 지목, 지리적인 위치나 실제 이용 상황, 주변 환경과 도로교통 여건까지 아주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공시지가는 제곱미터(㎡)당 가격으로 표시되는데, 우리가 흔히 쓰는 '평' 단위로 계산해보고 싶다면 여기에 3.3을 곱하면 대략적인 평당 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가격은 세금 산정 등을 위한 기준 가격일 뿐,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매매 가격과는 차이가 있고 보통은 실제 매매가가 더 높은 경우가 많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다른 지역을 한번 조회해 보겠습니다. 비교를 위해서 이번에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회천동에 있는 표준지를 선택해 보았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시/도와 시/군/구, 읍/면/동을 선택하고 검색하면 해당 지역의 표준지 목록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국 어디든 간편하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제주시 회천동의 표준지공시지가를 확인해보니 앞서 봤던 서울 강남구 개포동과는 가격 차이가 아주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화면에 보이는 가격만 비교해봐도 100배가 넘는 차이가 나네요. 이렇게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토지의 이용상황이나 주변환경, 용도지역 등 여러가지 조건들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토지의 가치는 이처럼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지역을 한번 더 살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목록에서 중간쯤에 위치한 다른 지역의 표준지를 임의로 선택해서 열람해 보았습니다. 어떤 지역을 선택하든 동일한 방법으로 주소를 선택하고 검색하면 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몇 번만 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겁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토지의 위치, 지목, 면적,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제곱미터당 표준공시지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준공시지가 조회와 열람은 이렇게 간단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사이트에서는 표준지공시지가 외에도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의 공시가격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이나 개별공시지가 같은 경우는 해당 토지가 속한 지역의 시청, 군청, 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 점은 알아두시면 편리합니다. 보통 해당 사이트에서 바로 연결해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표준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은 이정도로 마무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해당 홈페이지에서 공동주택 공시가격,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개별 공시지가 확인이 가능하나 개별단독주택과 개별 공시지가의 경우에는 각 시군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