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다음 메일 수신 확인 방법
    사실

    다음 메일에서 보낸 메일을 상대방이 읽었는지 궁금할 때가 있죠. 이럴 땐 다음 메일 수신 확인 기능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알 수 있어요. 다음(Daum)에 로그인해서 메일함으로 들어간 다음, 보낸메일함의 수신확인 메뉴를 누르면 누가 언제 읽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답니다. 단, 받는 사람이 다음 메일 주소여야만 해요.

     

    다음 메일 수신 확인 방법

     

    가장 먼저 다음 메일 수신 확인을 하시려면 당연히 다음 홈페이지로 들어가야겠죠. 인터넷 창을 열고 주소창에 다음을 입력해서 접속해주세요. 그러면 화면 오른쪽 윗부분에 '로그인'이라고 쓰여있는 글자가 보일 거에요. 그 부분을 마우스로 눌러서 아이디랑 비밀번호를 쓰는 곳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이제 아이디랑 비밀번호를 적고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점이 하나 있어요. 예전부터 쓰던 다음 아이디가 아니라 카카오 계정으로 통합해서 쓰는 분들이 많을 거에요. 그냥 카카오 계정이면 아이디만 적으면 되지만, 만약 옛날 다음 아이디를 그대로 쓴다면 아이디 뒤에 @daum.net 같은 메일 주소까지 전부 다 적어주셔야 로그인이 제대로 된답니다. 이걸 헷갈리면 계속 로그인이 안된다고 나올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로그인을 성공적으로 마치셨다면 화면이 바뀔 거에요. 바뀐 화면에서 왼쪽 위를 잘 찾아보시면 '메일'이라고 적힌 글씨가 보일 겁니다. 또는 원래 로그인 버튼이 있던 자리 근처에 '메일'이라고 표시되기도 해요. 어느 쪽이든 상관없이 '메일'이라고 쓰여진 부분을 찾아서 눌러주면 내 메일함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다음 메일 수신 확인 기능은 아주 유용하지만 한가지 꼭 알아둬야 할 조건이 있어요. 바로 메일을 받는 사람이 다음 메일 주소를 써야 한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서 @daum.net 이나 아니면 예전 주소인 @hanmail.net 으로 끝나는 주소로 메일을 보냈을 때만 이 기능을 쓸 수 있는 거죠. 다른 회사 메일 주소, 예를 들면 네이버나 구글 메일 주소로는 수신 확인이 안되니 이 점은 꼭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메일을 성공적으로 보내고 나면, 이제 확인을 해볼 차례입니다. 메일함 메뉴 중에서 오른쪽에 있는 여러 메뉴들을 살펴보세요. 그 중에 보낸메일함이라는 곳이 있고, 그 바로 아래나 옆에 수신확인이라는 버튼이 눈에 띌 겁니다. 내가 보낸 메일이 잘 도착했는지, 상대방이 읽었는지 보려면 바로 이 수신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수신확인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창이 뜨거나 화면이 바뀌면서 내가 보냈던 메일들의 목록이 나타납니다. 방금 보낸 메일을 찾아보면 받는 사람 이름 옆에 상태가 표시되는데, 아직 상대방이 읽지 않았다면 '읽지않음'이라고 표시될 거에요. 이 화면에서 내가 보낸 메일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죠. 언제 보냈는지 시간도 나오고, 누가 읽었는지도 나중에 표시됩니다.

     

     

    상대방이 아직 메일을 읽지 않은 '읽지않음' 상태라면, 메일을 다시 회수할 수 있는 발송 취소 기능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발송 취소가 안된다는 메시지가 나오기도 해요. 왜 안되는지 궁금할 때는 '자세히 보기' 같은 버튼을 눌러서 그 이유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무조건 다 취소되는 건 아니거든요.

     

     

    발송 취소가 가능한 경우는 기본적으로 받는 사람 메일 주소가 다음 메일이고, 상대방이 아직 그 메일을 열어보지 않았을 때입니다. 하지만 발송 취소가 안되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어요. 위에서 말한 것처럼 받는 사람이 다음 메일이 아니거나, 메일을 아예 열어보지도 않고 바로 지워버린 경우, 또는 읽지도 않고 '읽음' 표시를 해버린 경우,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했을 때도 취소가 안됩니다. 특히 읽지도 않고 삭제하거나 읽음 표시를 해도 취소가 안된다는 점은 좀 특이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