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하철 분실물센터
    사실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렸을 때는 각 도시의 지하철 공사 홈페이지나 경찰청 유실물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습득물 리스트를 확인하거나, 만약 내 물건이 없다면 직접 분실물로 등록해서 찾을 확률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두 군데를 확인하면 잃어버린 물건을 찾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지하철 잃어버린 물건 찾는 방법

     

    먼저 인터넷 검색창에 '지하철 분실물센터'라고 검색해보세요. 그러면 서울이나 부산, 대구 같이 지하철이 다니는 도시들의 분실물 센터 홈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거예요.

     

    어떤 곳은 따로 홈페이지가 있기도 하고, 또 어떤 곳은 시청 홈페이지 안에 들어가 있기도 하답니다. 저는 예시로 서울을 선택해서 들어가 봤어요.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바로 보이는 큰 검색창이 있는데, 이건 잃어버린 물건을 바로 검색하는 곳이 아니더라고요. 전체 홈페이지 내용을 검색하는 곳이라서 헷갈릴 수 있으니, 그 부분은 그냥 지나치고 바로 아래쪽에 있는 메뉴들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해요.

     

    메뉴를 보면 '습득물 리스트', '분실물 등록' 같은 것들이 보일 텐데요, 물건을 찾으러 왔으니 당연히 '습득물 리스트'를 눌러야겠죠. 이걸 누른 다음에 내가 물건을 잃어버린 장소나 물건 종류, 그리고 잃어버린 날짜 같은 것들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됩니다.

     

    만약에 검색했는데도 내 물건이 안 보인다면, 실망하지 말고 바로 옆에 있는 '분실물 등록' 메뉴에다가 내가 잃어버린 물건 정보를 직접 올려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참고로 서울 같은 경우는 지하철뿐만 아니라 버스나 택시에서 잃어버린 물건도 같이 찾아볼 수 있어서 편리해요.

     

    습득물 리스트를 보니까 사원증, 자동차 키, 핸드폰, 이어폰 같은 정말 다양한 물건들이 올라와 있더라고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물건을 주워서 지하철 분실물센터에 잘 등록해주시는 것 같아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물론 모든 물건이 다 올라오는 건 아니겠지만, 그래도 혹시 내 물건이 있을까 하는 희망을 가지고 꼼꼼히 찾아봐야 합니다.

     

    리스트에서 물건 하나를 눌러보면, 어느 기관에서 보관하고 있는지, 어떻게 발견됐는지, 그리고 물건에 대한 설명이랑 발견된 날짜, 담당자 연락처까지 아주 자세하게 나와 있어요. 처리 상태나 지금 어디에 보관되어 있는지도 알 수 있어서, 일단 등록만 되어 있다면 물건을 찾는 건 정말 쉬워 보였어요.

     

    아까 말했던 지하철 분실물센터 말고도 우리가 꼭 확인해봐야 할 중요한 곳이 한 군데 더 있답니다. 바로 '경찰청 유실물 종합관리시스템'이라는 곳이에요. 여기도 꼭 같이 확인해봐야 해요.

     

    이 홈페이지도 전체적인 구조는 비슷한데요. 혹시라도 내가 잃어버린 물건이 지하철 분실물센터가 아니라 이쪽, 그러니까 경찰청 유실물센터 쪽에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귀찮더라도 반드시 두 군데 모두 확인하는 것이 물건 찾을 확률을 높이는 길입니다.

     

    여기도 물건을 찾는 방식은 비슷하지만, 물건 종류별로 카테고리가 잘 나누어져 있어서 찾아보기 편하게 되어 있어요. 그리고 하루에 등록되는 분실물의 양이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아서, 잘 찾아보면 내 물건도 이 중에 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이곳은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보니까, 등록된 물건들은 대부분 가까운 지구대나 경찰서에 보관되어 있더라고요. 물건을 찾으러 갈 때는 신분증처럼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꼭 챙겨가서, '보관중'이라고 표시된 기관에 방문하면 물건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