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체질량 지수 계산법
    사실

    체질량 지수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건강 상태를 가늠하는 간단한 지표입니다. 체질량 지수라는 단어가 익숙해지면 자신의 체형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고, 체질량 지수를 여기저기 찾아볼 필요 없이 한 번의 계산으로 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요.

     

    계산법은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누면 됩니다. 예를 들어 70kg인 사람이 키가 1.75m라면 70을 1.75의 제곱인 3.0625로 나눠서 체질량 지수 약 22.9가 나와요. 이렇게 나온 숫자가 바로 체질량 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체질량 지수가 18.5 이하이면 저체중, 18.5~~24.9 사이는 정상, 25~~29.9는 과체중, 30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체질량 지수 기준이 이렇다는 점을 알고 있으면 자신의 건강 목표를 세우거나 관리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체질량 지수를 계산할 때는 체중을 측정한 뒤 키를 정확히 재는 게 중요하고, 하루 중에도 체중이 조금씩 변하니 가능하면 아침 식사 전 측정하는 걸 권장해요. 또 골격 근육량이나 체지방률 등 다른 요소와 함께 보면 더 세밀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체질량 지수 하나로 모든 상황을 판단할 순 없어도, 간단하게 체형을 체크하는 출발점으로는 제격입니다. 가끔씩 스스로 체질량 지수를 구해서 기록해 보면 변화를 눈으로 확인하며 꾸준히 관리할 수 있을 거예요.

     

     

     

    체질량 지수 계산법

     

    체질량 지수 계산법 바로가기 👉

     

    1. 체질량지수(BMI)는 키와 체중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예요. 키와 몸무게만 알면 바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웹에서 BMI 계산기라고 검색하면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도구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건강 상태를 빠르게 확인해보고 싶다면 꼭 한번 활용해보세요.

     

     

     

    2. BMI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키가 160cm(1.6m)이고 몸무게가 60kg이라면 60 ÷ (1.6 × 1.6)으로 계산해서 약 23.44가 나옵니다. 이 값에 따라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등으로 구분되는데요, 숫자 하나로 간편하게 분류해볼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3. 같은 키 160cm 기준으로 체중을 60kg으로 입력하면 BMI가 23.44로 계산되고, 이는 과체중 범위에 들어갑니다. 만약 체중을 50kg으로 바꿔 입력하면 BMI는 19.53으로 나오고, 정상 범위로 분류돼요. 숫자 하나 바뀌는 것만으로 분류가 바뀌니까 확인해보는 게 좋겠죠?

     

    4. 이번엔 키가 170cm이고 체중이 70kg이라면 BMI는 약 24.22로 계산되며, 과체중 범위에 해당합니다. 만약 체중을 60kg으로 줄이면 BMI는 20.76으로 바뀌며 정상 범위로 내려가요. 이처럼 키와 체중 변화가 BMI에 바로 영향을 주는 걸 알 수 있어요.

     

    5. 키 180cm에 체중이 80kg이라면 BMI는 24.69가 나오고, 이 수치는 과체중 범위예요. 같은 키에서 체중을 70kg으로 낮추면 BMI는 21.60으로 변하면서 정상 범위로 들어갑니다. 체중이 조금만 줄어도 건강 상태 지표가 달라질 수 있단 말이에요.

     

    6. 만약 BMI 수치가 과체중이나 비만 쪽으로 나온다면, 생활습관을 조절해보는 게 좋습니다. 식사량을 줄이거나 운동을 늘리는 방법이 있고요, 반대로 저체중일 경우엔 영양소를 골고루 챙겨 먹으면서 체중을 조금씩 늘리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7. 다만 BMI는 어디까지나 참고용이에요. 키와 몸무게만 가지고 계산하는 수치라서 근육이 많거나 체형이 특이한 분들에게는 딱 맞지 않을 수 있어요. 저도 운동 시작하고 나서는 체지방률이나 근육량 수치를 같이 봐야 정확하다는 걸 느꼈어요. 가능하다면 체성분 측정도 같이 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