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설특보 대설주의보 대설경보 발령 기준
    사실

    기상청은 위험한 대설 상황에 대비하도록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두 단계를 발표하며 이 둘을 합쳐 대설특보라고 부릅니다 경보가 주의보보다 더 높은 단계여서 더 긴급한 대비가 필요해요

     

    대설주의보는 24시간 동안 쌓이는 눈의 양이 평지 기준으로 5cm 이상일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돼서 도로가 미끄러워지거나 보행이 불편해지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때 내려집니다

     

    대설경보는 같은 기간에 평지 기준으로 20cm 이상, 산지 기준으로 30cm 이상의 눈이 쌓일 것으로 예측될 때 발령돼서 눈 무게로 인한 지붕 붕괴나 교통 마비 같은 심각한 위험이 예상될 때 내려집니다

     

    주의보 단계에서는 제설 작업 시작과 안전 장비 점검 등 초기 대비를 강화하지만 경보 단계에 이르면 차량 통제나 긴급 구조 같은 본격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만큼 위험도가 크게 올라갑니다

     

    한자어 ‘경보’가 가벼운 느낌을 줄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더 위험한 상황을 알리는 신호이니 눈 예보를 볼 때 주의보는 초기 알림, 경보는 본격 위험 신호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대설특보 대설주의보 대설경보 발령 기준

     

    대설특보 대설주의보 대설경보 발령 기준 바로가기 👉

     

    1. 먼저 대한민국 기상청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이곳은 매일 변하는 하늘과 바다 상황, 기상 경보, 강수량 데이터, 전국 기온, 주간예보 등 다양한 기상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개인 생활은 물론이고 산업 전반에도 꼭 필요한 정보들이 정리되어 있어 활용도가 아주 높습니다.

     

     

    2. 사이트 메인 화면을 천천히 내려보면 왼쪽 편에 여러 가지 메뉴들이 보이는데요, 여기서 행정누리집 바로가기라는 버튼을 찾아 클릭해 주세요. 이 페이지는 기상청의 공식 행정업무 자료와 다양한 공공서비스 정보로 연결되며, 평소에는 접하기 힘든 세부사항까지 꼼꼼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연결된 페이지 상단을 보면 주요업무 항목이 있는데요, 여기를 클릭한 다음 예보업무를 선택합니다. 그 후 기상정보 및 특보 탭을 눌러주세요. 이곳에서는 대설특보 외에도 태풍, 호우, 강풍 같은 다양한 기상특보 발령 기준과 발령 절차, 주의사항들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4. 대설특보의 기준을 살펴보면, 대설주의보는 평지 기준으로 5cm 이상의 눈이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 반면 대설경보는 일반 지역에서는 20cm, 산지 지역에서는 30cm 이상의 눈이 예보될 때 내려지죠. 저도 예전에 대설경보 발령 소식을 듣고 외출을 미뤘던 경험이 있는데, 미리 대비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